'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1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헷지라이프's

(350)
자본 잉여금 및 이익 잉여금 특징과 다른점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자본 잉여금 및 이익 잉여금 특징과 다른점이다. 경험상 학생들이 자본 파트에서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잉여금 특징과 다른점을 알아보자. 같은 잉여금인데 무엇이 다른 것일까? 우선 이 글을 읽기 전에 아래 포스팅을 보고 온다면 오늘 포스팅을 이해하는데 더욱더 도움이 될 것이다. 자본은 여러 가지 항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 자본 구성요소, 이익잉여금(결손금), 비지배지분)이 합쳐서 자본을 구성한다. 오늘은 자본에 속해있는 자본금, 자본 잉여금, 이익 잉여금을 가지고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자본 = 자본금 + 자본 잉여금 + 이익 잉여금 자본이 가라앉고 있다(Feat.기업의 자본잠식) 오늘 이야기할 키워드는 기업 자본잠식이다. 코로나 발발 이후 전체적으로 경기..
양적완화가 일으키는 인플레이션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양적완화가 일으키는 인플레이션이다. 우리는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돈의 가치가 낮아진다' 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과 돈의 가치 관계를 경제학 바탕으로 설명해보겠다. 민간 및 정부가 공급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재화나 용역과는 달리 돈의 공급은 중앙은행에서만 가능하다. 그렇기에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늘리고 줄이고 하는 영역 또한 중앙은행 정책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돈의 가치가 낮아진다? 위에 그림을 보면, 왼쪽 세로축은 화폐의 가치(value of money)이며, 화폐의 가치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low(낮음) to high(높음)을 의미한다. 오른쪽 세로축은 물가(price level)이며 물가는 아..
자본이 가라앉고 있다(Feat.기업의 자본잠식) 오늘 이야기할 키워드는 기업 자본잠식이다. 코로나 발발 이후 전체적으로 경기가 위축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경영난을 겪었을 거라 생각한다. 그로 인해 기업에 적자가 누적되며 자본잠식이 발생하는 기업들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자본잠식 의미와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자본잠식 정의 자본이 자본금보다 작은 상태 (자본 < 자본금) 나의 블로그의 회계 이야기에 보면 자본은 회계 공식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자산 = 부채 + 자본). 자본은 여러 가지 항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 자본 구성요소, 이익 잉여금(결손금), 비 지배지분)이 합쳐서 자본을 구성한다. 오늘은 자본에 속해있는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을 가지고 자본잠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자본 = 자본금 + 이익잉여금 앞서 말했듯..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다. 지금 세계의 모든 나라는 국민의 생존을 위협하는 고물가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 발발 이후 경제가 힘들어지면서 모든 나라가 공격적인 양적완화로 시장에 대규모로 풀린 유동성에 대한 계산서를 받고 있는 셈이다. 또한 최근 전쟁 발발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는 인플레이션이 더욱더 빠른 폭으로 가속화 되었다. 최근 미국은 고물가를 잡기 위해 자이언트 스탭을 감행하였다. 그로 인해 2022년 6월 17일 한국 기준금리와 미국 기준금리가 동일해졌다. 모든 나라들이 미국의 행보에 주목을 하며 긴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한국 포함 모든 나라가 미국의 금리에 이렇게 집중을 하는 것일까? Example 은행 A 은행 B 현재 금리 1% 1% ..
경제범죄로 얼룩진 사회, feat. 횡령, 배임, 조작, 사기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경제범죄로 얼룩진 사회이다. 요즘 뉴스에는 기업의 비리, 횡령, 배임, 조작, 사기 등 큼지막한 경제범죄가 많이 일어나는 추세이다. 오늘 포스팅에서 주제에 대한 나의 생각과 경제범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뤄보려고한다. 본 이야기에 앞서 짧게 나의 이야기를 하자면 이전 포스팅에서 내가 회계 공부를 시작한 이유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었다. 혹시 놓쳤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면 좋을 거 같다.
정부가 지급하는 보조금에 대한 회계처리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정부가 지급하는 보조금 회계처리이다. 기업 경영을 하다 보면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경우가 생긴다. 정부 보조금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회계처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오늘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자. 국제회계기준 (IFRS / IAS 20)에 의하면, 정부 보조금은 아래와 같은 조건이 부합할 경우 재무제표에 인식한다. Comply with any conditions attached to the grant and (정부 보조금에 부착된 조건을 기업이 부합한 경우) Actually received the grants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는 합리적인 확신이 있는 경우, e.g confirmation letter from governments) Situation 1 기업이 정부 ..
위험 및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기업의 자세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위험 및 불확실성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회사를 경영하다 보면 기업은 위험 및 불확실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아래 표는 위험과 불확실성의 차이점에 관한 내용이다. Risk Uncertainty 1 Risk is measurable Uncertainty is NOT measurable or predictable 2 Potential outcomes are known Potential outcomes are unknown 3 It can be controlled It CANNOT be controlled 4 Risk is the chance that an investment's actual outcome will dif..
IAS 37 충당부채 및 우발부채의 다른점 및 회계처리 오늘 이야기할 키워드는 국제회계기준 IAS37 충당부채 및 우발부채이다. 또한 두 부채의 다른점과 회계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이 포스팅을 통해 같이 알아보자. 둘 다 부채인데 무엇이 다르며 재무제표에 어떻게 인식이 될까? 국제회계기준 IAS 37에 의하면, 부채의 인식은 아래와 같은 조건이 다 부합할 경우 충당부채로 인식한다. 하지만 단 하나라도 부합하지 않는다면 이는 우발부채로 인식하고 재무제표에 공시한다. An entity must recognize a provision if, and only if: A present obligation (legal or constructive) has arisen as a result of a past event (the obligating event) Paymen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