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부문별 보고가 필요한 이유이다. 부문별 보고는 국제회계기준 IFRS8에 나오는 내용이며 부문 의미와 보고가 필요한 조건이 나와있다. 오늘 포스팅은 부문별 보고가 필요한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한다.
세계화, 비지니스의 다양성 등 기업의 영업활동이 점차 다양해지면서 투자자나 재무분석가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나타나지 않는 좀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부문별 보고(segmental reporting)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부문 지역별로 수익과 비용을 나누거나 만약 몇 개의 주요제품군을 판매하고 있다면 제품군별로 수익과 비용을 나누게되는데 기본적으로 회사 경영자가 경영관리목적에 따라 세분하고 있는 부문을 그대로 사용한다.
국제회계기준에서는 부문별 보고를 주석으로 상세히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인 손익계산서
매출액 | 300,000 |
Less: 매출원가 | (120,000) |
매출총이익 | 180,000 |
Less: 판관비 | (80,00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00,000 |
Less: 법인세 비용 | (50,000) |
당기순이익 | 50,000 |
일반적인 손익계산서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매출액, 매출원가, 판관비 등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수치가 어느 영업(사업)활동을 통해 창출되어있는지는 알 수 없다.
부문별 손익계산서
자동자 부문 | 오토바이 부문 | 전체 | |
매출액 | 240,000 | 60,000 | 300,000 |
Less: 매출원가 | 80,000 | 40,000 | (120,000) |
매출총이익 | 160,000 | 20,000 | 180,000 |
Less: 판관비 | 70,000 | 10,000 | (80,00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90,000 | 10,000 | 100,000 |
Less: 법인세 비용 | (50,000) | ||
당기순이익 | 50,000 |
부문별 손익계산서는 기존의 손익계산서보다 유용한 정보로써 재무정보이용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문별 손익계산서를 통해 재무정보이용자들은 어느 사업부분에서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여 기업의 수익성에 기여하는지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사업부문이 존재하는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회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선주의 종류와 의미 feat. preference share (0) | 2023.04.06 |
---|---|
증빙서류 의미와 필요성 feat. voucher document (1) | 2023.04.05 |
어음의 회계처리 feat. 받을어음과 지급어음 (0) | 2023.04.02 |
매출채권의 손상검사방법 feat. 연령분석법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