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2 Page)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헷지라이프's

(350)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성 feat. corporate governance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성이다. 좋은 회사로 거듭나는데 잘 조직화된 기업 지배구조는 꼭 필요한 요소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성과 존재 이유를 알아보자. 이전 포스팅을 통해 여러 번 강조했다. 주식회사의 주인은 주주이다. 주인이 직접 경영할 수 없기에 대리인(경영진)을 선출한다. 경영진은 기업가치와 주주 이익 극대화를 위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경영진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는 CEO이며 회사 전반적인 운영을 총괄하며 회사 대표로서 일을 하는 사람이다. 회사의 대표인 만큼 막강한 권한을 가지지만 상응하는 책임과 의무도 가진다. 매 순간 기업가치와 주주 이익 극대화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면 좋겠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을 때가 많다. 이때 에이전시 문제(Agency prob..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 사건 요약정리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 사건이다. 요즘 경제뉴스 1면을 장식하며 한국 증시 또한 영향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간단하게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이 왜 일어났는지 알아보자. 코로나 이전에 실리콘 밸리 기업들은 저금리로 인해 자금조달이 용이하고 돈을 많이 벌던 시기이다. 그 돈을 실리콘 밸리 은행에 예치했다. 실리콘 밸리 은행 특성상 주로 기술성장주 예를 들어 IT기업,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등이 주 고객이었다. 유동성 파티가 끝나고 연준은 물가를 잡기 위해 가파르게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실리콘 밸리 은행은 고객이 맡긴 돈을 미국 국채에 투자하였다. 국채 특성상 고정적으로 받을 현금흐름이 정해져 있으며 만기 시 원금을 상환받는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국..
지분법 회계처리 한 방에 이해하기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지분법 회계처리이다. 경험상 많은 학생들이 자본파트를 공부하면서 지분법 회계처리를 다루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서 오늘은 정말 쉽게 지분법 회계처리 방법과 핵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우리는 흔히 지분이라는 말을 실생활에서 많이 쓴다. 예로 들어 오브디와 존은 돈을 모아서 1억짜리 빌라를 샀다. 빌라를 사는데 들어간 비용 중 7천만 원은 오브디가 내고 3천만 원은 존이 냈다고 가정해 보자. 각자 오브디와 존이 재산적 가치가 있는 빌라에 대한 지분율은 7:3일 것이다 이제 빌라를 기업이라고 생각해보자. 실제로 기업은 다른 기업의 주식을 산다. 왜?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큰 틀에서 보면 다른 기업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함이다. 주식에는 의결권이 부여되기 때문..
이전가격(transfer price)과 이해충돌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이전가격과 이해충돌이다. 오늘 포스팅에서 중점적을 봐야 할 것은 이전가격 의미와 이전가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충돌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자. 이전가격 (transfer price) 의미부터 알아보자. 이전가격은 관련기업 사이에 원재료, 제품 및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가격을 말한다. 더 작은 범위로보면 부서 간의 원재료, 제품 및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도 해당된다. 아래 예시를 통해 이전가격 의미를 이해해보자. Example (주)오제 회사에는 A 부서와 B부서가 있다. A부서는 부품을 B부서에 납품하고 B부서는 납품받은 부품을 2차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어 판매한다. 여기서 A부서가 B부서한테 부품을 넘길 때 적용되는 가격을 이전가격이라고 한다. 즉, A부서 입장에서는 이전가격..
MM proposition and asset beta formula 개념설명 2탄 오늘 이야기할 키워드는 MM theory와 asset beta formula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asset beta와 equity beta를 언급하면서 MM theory를 언급한 적이 있었다. 혹시 놓친 사람이 있다면 아래 해당 포스팅을 참고해 주면 좋을 거 같다. 오늘 소개할 MM proposition and asset beta formula는 모두 Ke(자기자본비용)을 구하는데 쓰인다. 하지만 주어진 상황에 따라 쓸 수 있는 모델이 다르다.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듯이 Ke(자기자본비용)은 CAPM모델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간략하게 CAPM모델은 아래와 같다. Rf + β(market risk premium) 공식에서 보이는 β는 베타를 의미하며 이전 포스팅에서 equity beta와 ass..
Free Cash Flow to Equity(FCFE) 개념설명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주주잉여현금흐름 개념설명이다. 고급재무관리를 공부하다 보면 기업가치 평가 파트에서 꼭 나오는 내용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주주잉여현금흐름이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자. 주주잉여현금흐름 의미 FCFE (free cash flow to equity): the cash generated in any given year that is available to pay to ordinary shareholders. The profits that can be paid as dividends and will not affect the company’s future profit-making capacity. 쉽게 이야기하면 주주잉여현금흐름은 주주에게 분배가능한 현금을 의미한다. 예로 ..
[투자의 기술] 배당성장모델을 활용하여 적정 주가 찾기 오늘 이야기할 키워드는 배당을 활용하여 적정 주가 찾기이다. 기업의 적정 주가는 얼마인가? 투자자마다 보는 시각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에 따라 다른 견해를 가진다. 오늘 포스팅은 배당성장모델을 통해 적정주가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자. 기업에 주식 투자 하는 이유는 투자자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투자자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시세차익을 통해 이익을 실현하려고 할 것이고 장기 투자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성장과 자신의 부가 일관되게 늘어나는 점에서 투자를 하려고 할 것이다. 또한, 기업 주식에 투자하여 소유하고 있다면 주주는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긴다. 배당 의미는 주주 환원정책의 일환으로 주식을 가진 사람들의 소유 지분에 따라 기업이 벌어들인 이윤을 분배하는 것이다. 적정주가는 왜 ..
금리로 알아보는 경기 사이클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금리와 경기 사이클이다. 자본주의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시장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부동산시장, 외환시장, 주식시장 등 모든 시장이 우리 금융사회에 한 축을 담당하며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때론 정부 정책, 재정정책, 통화정책 등은 위에 거론된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시장에 흐름을 바꾸기도 한다. 간단하게 오늘 소개할 시장은 부동산시장, 외환시장, 주식시장이다. 부동산시장: 부동산 매매를 포함하여 전, 월세 시장 외환시장: 각국 통화가 거래되는 시장 주식시장: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 금리는 양면성을 가진다 금리가 낮을 경우 금리가 낮다는 의미는 낮은 이자비용을 의미하며 돈을 빌리고자 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반대로, 돈을 저축하고자 하는 사람은 적을 것..

728x90
반응형